2025 국민연금 연기수령으로 월 36% 더 받는 방법
“국민연금, 그냥 받으시겠어요? 조금만 기다리면 더 받을 수 있습니다.”
63세부터 연금 받는 시대, ‘언제 받을까’가 노후 소득을 좌우합니다.
1. 국민연금 수령 시기, 선택에 따라 금액이 달라진다?
국민연금은 만 63세부터 수령할 수 있는 공적연금입니다. 하지만 반드시 그 시점에 수령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. 본인의 상황에 따라 조기수령(최대 60세부터) 또는 연기수령(최대 70세까지) 이 가능합니다. 중요한 건, 수령 시기에 따라 연금액이 달라진다는 점입니다.
2. 국민연금 연기수령이란?
연기수령은 말 그대로 연금을 나중에 받는 제도입니다. 현재 기준으로 만 63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, 신청에 따라 최대 만 70세까지 수령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수령이 늦어지는 만큼 연금액이 가산되어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되는 구조입니다.
예를 들어, 연금을 1년 연기하면 약 7.2%가 증가하고, 5년 연기하면 약 36%까지 늘어납니다.
연기수령 가산율:
- 1개월 연기 시 0.6% 증가
- 12개월 연기 시 약 7.2% 증가
최대 84개월(7년) 연기 시 약 50% 가까운 증가 효과
3. 어떤 사람이 연기수령을 선택해야 할까?
연기수령은 모든 사람에게 유리한 제도는 아닙니다.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해당된다면 적극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-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: 현재 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면 연기해 두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.
- 건강 상태가 양호한 경우: 오래 살 가능성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연금 총액을 수령하게 됩니다.
- 소득이 있는 경우: 현재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어 연금이 필요하지 않다면 연기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.
기초연금 수급을 고려하는 경우: 국민연금을 연기하면 기초연금 수급 조건이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.
4. 연기수령 신청 방법과 절차
국민연금 연기수령은 노령연금 수령 개시 전 또는 개시 후 언제든지 신청 가능합니다. 단, 연기 후 다시 수령을 개시할 때는 연기했던 금액만큼만 더 받아야 하므로, 타이밍 조절이 중요합니다.
신청 방법: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(www.nps.or.kr) 접속 후 온라인 신청
- 가까운 국민연금 지사 방문 신청
고객센터(1355) 전화 상담 후 우편 또는 팩스 신청 가능
5. 연기수령 예시로 이해하기
예시:
- A씨(63세), 국민연금 수령 예정액 월 100만 원
- 5년 연기 후 68세부터 수령 선택
- 연기 가산율 0.6% x 60개월 = 36% 인상
- 실제 수령액: 136만 원/월
총 수령액 비교 (가정)
- 63세부터 85세까지 수령: 100만 원 × 12개월 × 22년 = 약 2억 6,400만 원
- 68세부터 85세까지 수령: 136만 원 × 12개월 × 17년 = 약 2억 7,744만 원
즉, 5년 더 늦게 받았지만 결과적으로 수령 총액이 더 많아지는 구조입니다.
6. 조기수령과의 차이
조기수령은 만 60세부터 받을 수 있지만, 그만큼 감액이 됩니다.
- 1개월 조기 수령 시 0.5% 감액
- 최대 36개월(3년) 조기 수령 시 총 15% 감액
연금이 절실히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, 조기수령보다는 연기수령이 장기적으로 훨씬 유리합니다.
7. 연기수령의 단점은 없을까?
물론 있습니다.
- 수령 시기가 늦어질수록 총 수령 전 사망 시 손해 가능성
- 현재 생활비가 부족한 경우 부담
- 기초연금과의 연계 문제 등
따라서 본인의 건강, 경제상황, 가족 구성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.
8. 연금 전문가들이 말하는 추천 전략
- 63세 이전에 충분한 소득이 있다면 연기수령이 유리
- 부부 중 한 사람은 조기수령, 다른 한 사람은 연기수령으로 분산 전략
- 65세 이후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의 합산 효과 고려해야
9. 국민연금 수령 전략 요약 표
60세 (조기) | -15% | 낮음 | 생활비 부족자 |
63세 (정상) | 기준 수령액 | 평균 | 일반 대상자 |
68세 (연기) | +36% | 높음 | 건강 양호, 여유 있는 분 |
10. 마무리
국민연금은 ‘얼마 받을까’보다 ‘언제부터 받을까’가 중요한 시대입니다. 연기수령은 연금 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지만, 개인 상황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르게 나타납니다.
건강 상태와 재무 여건을 고려해 가장 나에게 유리한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노후를 안정적으로 준비하는 지름길입니다.
'국민연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수령액, 3분 만에 확인하는 방법! 지금 바로 조회하세요. (0) | 2025.05.27 |
---|---|
2025 국민연금 개혁 예상수령액 수령나이 주요 변경 사항 (총정리) (0) | 2025.05.26 |
2025년 국민연금 수령 연령별 전략 – 60세, 65세, 70세 수령 비교 (1) | 2025.05.26 |
2025년 국민연금 수령액과 기초연금의 관계 – 감액 기준 완벽 정리 (0) | 2025.05.26 |
2025년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– 누구나 쉽게 확인하는 법 (0) | 2025.05.25 |